최근 코로나 확진자가 급증함에 따라 재택 치료자가 늘어나고 있다. 집중관리군의 경우 자가 키트와 의약품 등의 지원을 받지만 일반관리군의 경우는 지원을 받지 못하므로 미리 코로나 상비약을 구비하고 대비한다면 재택치료 시 코로나 회복에 도움이 된다.
코로나 재택치료 상비약
아세트아미노펜(해열 진통제)
우리에게 친숙한 타이레놀이 대표적인 아세트아미노펜 약품이다. 코로나19의 주요 증상인 발열, 기침, 가래, 오한, 인후통, 호흡곤란, 피로, 피부발진 등 의 증상을 포괄적으로 완화해주는 약품이다.
소염진통제
소염진통제는 아세트아미노펜을 복용한 후에 약 4시간이 지나도 통증이나 열이 떨어지지 않을때 복용하는 것이 좋다. 단 일부 연구 결과에 따르면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가 항체 형성을 방해한다는 데이터가 있으므로 될 수 있으면 아세트아미노펜만 복용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솔푸펜, 탁센 덱시)
진해제(기침약)
진해제는 기침이 심할 때 멈추는 것을 도와주는 약으로 시판되는 기침약에는 대부분 진해제가 합류되어 있다. 또한 대부분의 기침약에는 아세트아미노펜 계열의 진통제가 포함돼 있기 때문에 아세트아니노펜 만으로 코로나 증상이 호전되지 않을 때 보조적으로 복용해주는 것이 좋다.
항히스타민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증상 중에 상당수가 피부 발진 등의 반응을 경험했다고 알려졌다. 항히스타민제는 두드러기와 알레르기성 증상이 나타날 때 도움을 주는 약품이다. 로라타딘, 세티리진, 펙소페나딘 등 항히스타민제 성분은 일반 의약품으로 분류되어 약국에서 구매 가능하다.(지르텍, 알러샷, 클라리틴, 로라딘)
소화제. 지사제
코로나 바이러에 감염된 환자 중 일부는 소화기능이 저하되어 구토나 설사 증상을 보이는 경우도 있다. 이런 상황을 대비하여 소화제와 지사제를 갖추어 놓으면 유용하다. 단 별다른 증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지사제를 복용하게 되면 체내 독소가 배출되지 않아서 오히려 증상이 악화될 수도 있으니 설사 증상이 심할 때만 복용해야 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