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도로를 달리다가 주유 경고등에 불이 들어오면 난감한 경우가 있다. 혹시 달리다가 차가 서지 않을까 불안한 마음은 들고 주유소가 바로 보이지 않으면 조바심이 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주유등에 불이 들어온 뒤에도 어느 정도까지는 주행하는 거리가 확보되기 때문에 너무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 과연 주유 경고등에 불이 들어왔을때 얼마나 더 달릴 수 있을까?
주유등에 불이 들어온 뒤에 가능한 주행거리
차종마다 연비나 연료의 종류가 다르기 때문에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소형 자동차가 중형이나 대형차보다는 더욱 먼 거리를 달릴 수 있다. 일반 적으로 소형차는 6리터 중형은 10리터 대형차는 12리터 정도의 기름이 남았을 때 LPG 차량의 경우는 10% 미만의 연료가 남았을때 주유 경고등이 들어온다고 한다.
테스트 결과 가솔린을 연료로 사용하는 소형차는 주요 경고등이 뜨고 대략 70km 정도를 주행할 수 있고 준중형급 이상 승용차들은 40km~50km 정도 더 달릴 수 있다고 한다.
LPG 차량 같은 경우는 연료 게이지가 한칸 정도 남았을때 약 30km를 더 달릴 수 있다고 한다. LPG는 가솔린에 비해 연료 효율성이 낮고 충전소가 많지 않기 때문에 연료 게이지가 한칸 정도 남았을 때는 꼭 충전해주는 것이 안전하다.
경유차량의 경유는 가장 많은 거리를 달릴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주유 경고등에 불이 들어온 뒤에도 50~60km를 더 달릴 수 있다고 한다.
제때 연료를 채우지 않고 주유 경고등에 불이 들어올때까지 연료를 소모하다 보면 기름 탱크 바닥에 불순물이 가라앉게 되는데 필터링되지 않은 불순물이 엔진 쪽으로 들어가게 되면 자동차의 수명이 줄어들고 위험에 노출될 수 도 있기 때문에 기능하다면 연료의 30% 정도가 남았을때 미리미리 연료를 채워주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다.
댓글